맨위로가기

쌍조건문 도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조건문 도입은 논리학의 추론 규칙 중 하나로, P → Q와 Q → P가 참일 때 P ↔ Q를 결론으로 도출한다. 시퀀트 표기법으로는 (P → Q), (Q → P) ⊢ (P ↔ Q)로 나타낼 수 있으며, 명제 논리의 항진명제 또는 정리로 ((P → Q) ∧ (Q → P)) → (P ↔ Q)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규칙은 직관 논리에서 성립하며, 고전 논리를 포함한 모든 초직관 논리에서도 유효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직관 논리 - 에밀 보렐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정치인인 에밀 보렐은 측도론과 확률론에 기여하고 보렐 집합 개념으로 알려져 있으며, 무한 원숭이 정리와 같은 사고 실험과 게임 이론 연구, 프랑스 하원 의원 및 해군부 장관 역임, 레지스탕스 운동 참여, 파리 통계 연구소 및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 설립 기여 등으로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직관 논리 - 후건 부정
    후건 부정은 "P이면 Q이다"라는 조건문과 "Q가 아니다"라는 명제를 통해 "P가 아니다"라는 결론을 내리는 추론 규칙으로, 논리적 사고의 중요한 도구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증명될 수 있다.
  • 추론 규칙 - 드 모르간의 법칙
    드 모르간의 법칙은 명제 논리, 술어 논리, 집합론, 부울 대수 등에서 결합 또는 분리의 부정을 각 요소의 부정의 분리 또는 결합으로 표현하는 논리적 원리이다.
  • 추론 규칙 - 부정 도입
    부정 도입은 기호 논리학의 추론 규칙으로, P가 참일 경우 모순된 결론이 도출되므로 P가 거짓임을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 고전 논리 - 명제 논리
    명제 논리는 진릿값을 갖는 명제를 다루는 형식 논리 체계로, 논리 연결사를 사용하여 명제를 결합하고 논증을 분석하며, 다양한 논리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하여 컴퓨터 과학 및 수리 논리학에서 활용된다.
  • 고전 논리 - 동일성
    동일성은 철학에서 자기 자신과 일치하고 자기 동일적으로 존재하며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는 개념으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철학자와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고 활용되어 왔다.
쌍조건문 도입
규칙 정보
종류추론 규칙
분야명제 논리
설명만약 P → Q가 참이고 Q → P가 참이라면, P ↔ Q가 참이라고 추론할 수 있음.
형식P → Q, Q → P ∴ P ↔ Q

2. 정의

'''쌍조건문 도입'''은 다음과 같은 추론 규칙이다.[4]

:

\begin{matrix}

P\implies Q\qquad Q\implies P \\

\hline

P\iff Q

\end{matrix}



또는

:P\implies Q,Q\implies P\vdash P\iff Q

여기서


  • P, Q논리식을 나타내는 메타 변수이다.
  • \implies는 함의이다.
  • \iff는 동치이다.
  • 수평선은 증명 과정의 이웃한 두 단계를 구분하는 메타 논리 기호이다.
  • \vdash는 왼쪽에 놓인 논리식들로부터 오른쪽에 놓인 논리식을 증명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메타 논리 기호이다.

3. 형식 표기법

쌍조건문 도입은 다음과 같은 추론 규칙이다.[4]

:\begin{matrix}

P\implies Q\qquad Q\implies P \\

\hline

P\iff Q

\end{matrix}

또는

:P\implies Q,Q\implies P\vdash P\iff Q

여기서


  • P, Q논리식을 나타내는 메타 변수이다.
  • \implies는 함의이다.
  • \iff는 동치이다.
  • 수평선은 증명 과정의 이웃한 두 단계를 구분하는 메타 논리 기호이다.
  • \vdash는 왼쪽에 놓인 논리식들로부터 오른쪽에 놓인 논리식을 증명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메타 논리 기호이다.


쌍조건문 도입 규칙은 시퀀트 표기법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 \to Q), (Q \to P) \vdash (P \leftrightarrow Q)

여기서 \vdashP \to QQ \to P가 증명에 모두 포함될 때 P \leftrightarrow Q가 구문론적 함의임을 의미하는 메타논리 기호이다.

또는 명제 논리의 진리 함수적 항진명제 또는 정리의 진술로 나타낼 수 있다.

:((P \to Q) \land (Q \to P)) \to (P \leftrightarrow Q)

여기서 PQ는 일부 형식 체계에서 표현된 명제이다.

4. 성질

직관 논리에서 성립하며, 따라서 고전 논리를 비롯한 모든 초직관 논리에서 성립한다.

참조

[1] 문서 Hurley
[2] 문서 Moore and Parker
[3] 문서 Copi and Cohen
[4] 서적 Elementary Logic Springer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